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까운 시설 및 정보를 제공 합니다.

한번에 찾는 복지시설 및 정보

복지정보

[복지뉴스] 소셜 챗봇, 외로움·사회불안 완화 효과…"정신건강 증진"
  • 등록일

    2025.01.20

  • 조회수

    2

  • 시설종류

    기타

  • 카테고리

    복지뉴스

UNIST·고려대 교수팀 연구
[울산=뉴시스] 구미현 기자 = 울산과학기술원(UNIST)는 의과학대학원 정두영 교수팀이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현철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소셜챗봇과 대화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울산=뉴시스] 구미현 기자 = 울산과학기술원(UNIST)는 의과학대학원 정두영 교수팀이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현철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소셜챗봇과 대화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20일 내놨다. 사진은 소셜챗봇과의 대화 장면. (UNIST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뉴시스] 구미현 기자 = 대화형 인공지능인 소셜 챗봇이 외로움과 사회불안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는 의과학대학원 정두영 교수팀이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현철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소셜챗봇과 대화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20일 내놨다.

이번 연구는 소셜 챗봇 '이루다 2.0'을 활용해 이뤄졌다. 연구팀은 총 176명의 실험 참여자를 모집해 4주 동안 주 3회 이상 소셜 챗봇과 대화하게 했으며, 이후 참여자들의 외로움(Loneliness)과 사회불안(Social Anxiety) 수준을 표준화된 설문도구로 측정했다.

실험 전후 데이터를 비교 분석했으며, 참여자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소규모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챗봇과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정서적 안정감과 사회적 연결감을 강화하는 데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중점적으로 평가했다.

연구 결과, 소셜 챗봇과의 정기적 상호작용이 외로움 점수를 평균 15% 감소시키고, 사회불안 점수를 평균 18%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가 스스로의 감정, 생각, 경험에 대한 정보를 챗봇에게 더 많이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회복탄력성이 높을 경우 챗봇의 외로움 완화 효과가 더 두드려졌다. 또 대면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는 사용자들에게서 챗봇의 정서 관리 효과가 더 클 것으로 분석됐다.

제1저자인 김명성 UNIST 의과학대학원 박사과정 학생은 "소셜 챗봇이 외로움과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효과적인 디지털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챗봇이 단순한 기술적 장치를 넘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대인관계와 관련된 요인들이 이러한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 데 이번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전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인 정두영 교수는 "안전하게 사용될 경우 전문인력이 부족한 환경에서 정신 건강 문제의 예방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향후 챗봇의 사용성을 개선하고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는 추가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첨단 디지털헬스케어분야 최상위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메디컬 인터넷 리서치(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1월 14일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연구수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전파진흥협회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첨부파일